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백신의 접종을 마친 사람이 그 감염병에 걸리는 현상. 접종받은 사람의 생체 반응의 차이, 접종한 백신의 유효성 문제, 바이러스성 감염병의 경우 변이종의 발생 등에 의해 나타난다. 특히 코로나바이러스의 경우 복제와 번식이 빠르고 변이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돌파감염의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돌파감염의 경우 백신 접종을 받지 않은 경우에 비해 증상이 가볍고 치료 기간도 단축된다.
목차
접기개요
감염병 예방을 위한 백신 접종을 완료한 사람이 해당 질환에 감염되는 현상. 백신 접종을 통해 형성된 면역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나 조기에 소멸된 경우, 백신 접종 절차의 부적절, 백신 자체의 결함, 감염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변이 등의 이유로 발생한다. 돌파감염은 대개 변이종이 자주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감염병인 간염, 수두, 이하선염, 코로나바이러스 등에서 나타난다.
주요 원인
돌파감염 가운데 면역력이 충분하지 않거나 조기에 소멸된 경우에 발생하는 사례는 대체로 접종을 받은 사람의 생체 반응과 관련이 있다. 면역은 예방접종을 할 때 인체에 노출되는 병원체에 의해 인체 내의 면역 체계가 자극되어 항체와 림프구가 형성되는 것인데, 고령인 경우 면역 체계의 반응으로 발생하는 항체와 림프구의 형성이 저조할 경우 돌파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인플루엔자나 폐렴 백신은 65세 이상의 고령자에게서는 효과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소정의 백신 접종 절차를 제대로 마쳤다고 생각했으나 실제로 접종한 백신의 양이 적었거나, 백신에 따른 접종 주기가 정상적으로 지켜지지 않았을 경우에도 면역력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백신 접종 후 면역력의 유효 기간이 지났을 경우에도 돌파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백신의 보관방법의 오류나 유효기간이 경과한 백신을 접종했을 때에도 충분한 면역력이 발생하지 않아 돌파감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바이러스성 감염병의 경우
특히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백신을 개발할 때 겨냥했던 바이러스 단백질의 구조에 변이형이 발생하여, 기존에 접종한 백신의 유효성이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바이러스성 감염병의 경우 백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바이러스 표면에 존재하는 수많은 항원을 파악해야 하는데, 특히 코로나바이러스의 경우 번식이 빠르고 변이가 지속적으로 발생해 개발된 백신의 유효성이 감소하는 경우가 많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