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
BEST 01
필로티구조
일반적으로 지상층에 면한 부분에 기둥, 내력벽(耐力壁) 등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체 이외의 외벽, 설비 등..
출처
토지이용용어사전
-
BEST 02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BEST 03
소설
24절기의 스무번째는 소설(小雪)입니다. 이때부터 점차 겨울로 들어서지만 아직 따뜻한 햇볕이 남아 있어 ..
출처
하루하루가 잔치로세
-
-
박정민
박정민은 한국의 배우다. <파수꾼>(Bleak Night, 2010)으로 가능성을 인정받았으며, <동주>..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
필로티 구조
필로티 구조는 1층을 비우고 벽면 없이 기둥으로 하중을 지지하는 형태로 짓는 건축 방식을 말한다. 한국은 2000년대 초반부터 필로티 구조양식이 도입됐으며, 이명박 정부 때부터 본격적으로 확장되기 시작됐다. 필로..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출처
다음백과
-
빙부·빙모
빙부(聘父)는 다른 사람의 장인을, 빙모(聘母)는 다른 사람의 장모를 일컫는 말이다. 결혼한 남성을 기준으로 한 말로, 빙부는 아내의 아버지(장인)를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빙부와 빙모 모두 현대 한국에서는 주로..
출처
다음백과
-
지방 쓰는 법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대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서 쓰는 신주 대신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말한다. 깨..
출처
다음백과
-
삼우제
장사를 지낸 후 세 번째 지내는 제사. 망자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하며, 우제라..
출처
다음백과
-
절기
1달에서 5일을 1후, 3후인 15일을 1기라 하여 이것이 기후를 나타내는 기초가 된다. 1년을 12절기..
출처
다음백과
-
롯데월드타워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에 건축된 초고층 복합 건물. 원래 '제2롯데월드'라는 이름으로 추진되었으나 201..
출처
다음백과
-
시제
춘하추동의 길일이나 절일에 조상에게 행하는 제례. 사시제(四時祭)·시사(時祀)·시향(時享)·절사(節祀)·..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중앙청
서울특별시 세종로 1번지에 있는 중앙정부 옛 청사의 명칭. 1916년 일제가 식민통치의 위엄을 내세우기 ..
출처
다음백과
-
애국가
한국의 국가. 나라 사랑의 정신을 일깨우는 노래로서의 애국가는 갑오개혁 이후로 여러 사람이 만들었으며 <..
출처
다음백과
-
차례 지내는 순서
명절에 지내는 제사인 차례를 지내는 방식. 이전에는 명절과 매달 초하루, 보름마다 꼭두새벽부터 차례를 지..
출처
다음백과
-
경조사 봉투
경조사가 있을 때 축하·조문의 뜻을 담아 일정 금액의 돈을 전달하기 위한 봉투 경조사(慶弔事)란 가정·사..
출처
다음백과
-
호두까기 인형
〈호두까기 인형〉은 〈백조의 호수〉, 〈잠자는 숲 속의 공주〉와 함께 차이콥스키의 3대 발레곡이다. 특이..
출처
클래식 백과
-
깐부
깐부는 딱지치기나 구슬치기와 같은 놀이를 할 때 동맹을 맺고 놀이 자산을 함께 공유하는 가장 친한 친구, 짝꿍, 동반자를 뜻하는 은어다. 깜보, 깜부, 깐보라고도 한다. 어원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평안도 방..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
프랑켄슈타인
1818년 나온 소설로 원제목은 〈프랑켄슈타인 : 현대의 프로메테우스〉이다. 이 소설 속에서 빅토르라는 ..
출처
다음백과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