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
BEST 01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BEST 04 양주 대모산성 양주 대모산성(楊州 大母山城)은 신라가 한강 유역을 차지한 6세기 중반 이후 임진강과 한강을 연결하는 주요 교통로를 통제할 수 있는 곳에 축조한 테뫼식 석축 산성이다. 이 산성은 연천 대전리산성과 함께 나당전쟁의..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상달 10월을 이르는 말로 햇곡식을 신에게 드리기에 가장 좋은 달. 시월상달. 음력 10월을 1년 중에서 가장 신성한 달로 여겨 속칭 ‘시월 상달’이라 한다. 예로부터 우리 한민족은 시월이면 제천의식(祭天儀式)을 거행..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대모산성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대모산(大母山)에 있는 삼국시대 거점산성의 전형적인 성격을 가진 석축 성곽. 산성. 사적. 양주 분지 중앙에 솟아 있는 불곡산과 호명산 사이에 위치한 해발 213m의 구릉 정상부에 축조되어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그리운 금강산 「그리운 금강산」은 한상억 작사, 최영섭 작곡의 예술 가곡이다. 4/4박자의 못갖춘마디로 시작되는 3개의 큰악절로 이루어진 세도막 형식의 가곡이다. 1961년 8월 18일에 완성된 이 곡은 1961년 9월 7일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