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
BEST 01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BEST 02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출처
다음백과
-
BEST 03
인왕제색도
인왕제색도는 겸재 정선(鄭歚, 1676~1759)이 76세 때인 1751년 그린 작품으로 정선의 작품 세계 말년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인왕산의 강인한 정기를 화폭에 충만하게 담고 있으나 정선이 표현한 인왕산은 강..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
BEST 04
빙부·빙모
빙부(聘父)는 다른 사람의 장인을, 빙모(聘母)는 다른 사람의 장모를 일컫는 말이다. 결혼한 남성을 기준으로 한 말로, 빙부는 아내의 아버지(장인)를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빙부와 빙모 모두 현대 한국에서는 주로..
출처
다음백과
-
단심가
이방원의 〈하여가〉에 답해 지은 것으로 충성심을 보이는 대표적 노래이다. 이방원은 아래의 내용의 시를 지어 정몽주의 마음을 떠보았다.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우리도 ..
출처
다음백과
-
삼우제
장사를 지낸 후 세 번째 지내는 제사. 망자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하며, 우제라..
출처
다음백과
-
로제타석
이집트 문자 해석의 기초가 된 비석. 길이 114㎝, 폭 72㎝의 검은 현무암으로 되어 있다. 1799년..
출처
다음백과
-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신점리에 있는 은행나무. 1962년 12월 7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42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14m로 수령은 1,100년으로 추정된다. 가지는 동서로 28.1m, 남북으로 2..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오벨리스크
이집트의 오벨리스크는 대체로 채석장에서 캔 붉은 화강암 덩어리를 깎아서 만들었다. 피라미드형 꼭대기보다 ..
출처
다음백과
-
깐부
깐부는 딱지치기나 구슬치기와 같은 놀이를 할 때 동맹을 맺고 놀이 자산을 함께 공유하는 가장 친한 친구, 짝꿍, 동반자를 뜻하는 은어다. 깜보, 깜부, 깐보라고도 한다. 어원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평안도 방..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
소설
24절기의 스무번째는 소설(小雪)입니다. 이때부터 점차 겨울로 들어서지만 아직 따뜻한 햇볕이 남아 있어 ..
출처
하루하루가 잔치로세
-
프랑켄슈타인
1818년 나온 소설로 원제목은 〈프랑켄슈타인 : 현대의 프로메테우스〉이다. 이 소설 속에서 빅토르라는 ..
출처
다음백과
-
오방색
오행사상을 상징하는 색. 오행설은 목, 화, 토, 금, 수 등 5요소의 변화로 만물의 생성소멸을 설명하는..
출처
다음백과
-
애국가
한국의 국가. 나라 사랑의 정신을 일깨우는 노래로서의 애국가는 갑오개혁 이후로 여러 사람이 만들었으며 <..
출처
다음백과
-
김병우
김병우는 한국의 영화감독이다. 대학 재학시절 완성한 <아나모픽>(Anamorphic, 2003)과 <리튼..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
-
오브제
예술과 무관한 물건을 본래의 용도에서 분리하여 작품에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느낌을 일으키는 상징적 기능의 ..
출처
다음백과
-
정선 필 인왕제색도
조선 후기의 문인화가 정선이 그린 대표적인 진경산수화. 화면 오른쪽 상단에 씌어 있는 화제와 관지를 통해..
출처
다음백과
-
가부키
짙은 분장과 양식적인 연기로 유명한 일본의 전통 연극. 16세기 후반 여승이었던 오쿠니가 불교도들을 풍자..
출처
다음백과
-
융건릉
조선 왕릉의 마지막 행선지는 사적 제206호인 융건릉이다. 제22대 정조의 아버지 장조(사도세자)와 현경..
출처
과학문화유산답사기1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