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1. BEST 01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BEST 02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조문하는 방법 출처 다음백과
  3. BEST 03 빙부·빙모 빙부(聘父)는 다른 사람의 장인을, 빙모(聘母)는 다른 사람의 장모를 일컫는 말이다. 결혼한 남성을 기준으로 한 말로, 빙부는 아내의 아버지(장인)를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빙부와 빙모 모두 현대 한국에서는 주로.. 출처 다음백과
  4. BEST 04 지방 쓰는 법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대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서 쓰는 신주 대신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말한다. 깨.. 부모 지방 예시 출처 다음백과
  5. 박정민 박정민은 한국의 배우다. <파수꾼>(Bleak Night, 2010)으로 가능성을 인정받았으며, <동주>.. 박정민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6. 삼우제 장사를 지낸 후 세 번째 지내는 제사. 망자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하며, 우제라.. 고 이한열군 삼우제 출처 다음백과
  7. 애국가 한국의 국가. 나라 사랑의 정신을 일깨우는 노래로서의 애국가는 갑오개혁 이후로 여러 사람이 만들었으며 <.. 애국가 출처 다음백과
  8. 벤허 벤허(1959)는 루 윌리스의 『벤허:그리스도의 이야기』를 영화한 작품으로 20세기 최고의 종교 영화로 .. 벤허(Ben Hur)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9. 상달 10월을 이르는 말로 햇곡식을 신에게 드리기에 가장 좋은 달. 시월상달. 음력 10월을 1년 중에서 가장 신성한 달로 여겨 속칭 ‘시월 상달’이라 한다. 예로부터 우리 한민족은 시월이면 제천의식(祭天儀式)을 거행..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0. 고니 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하는 조류. 북아메리카, 아시아, 유럽이 원산지이다. 몸길이는 120~140cm이며,.. 고니 출처 다음백과
  11. 소설 24절기의 스무번째는 소설(小雪)입니다. 이때부터 점차 겨울로 들어서지만 아직 따뜻한 햇볕이 남아 있어 .. 김장 출처 하루하루가 잔치로세
  12. 조수미 대한민국에서 태어난 소프라노 조수미는 온갖 국제콩쿠르를 휩쓸며 거장으로서의 발판을 굳혔다. 1986년 베.. 조수미 출처 클래식 백과
  13. 깐부 깐부는 딱지치기나 구슬치기와 같은 놀이를 할 때 동맹을 맺고 놀이 자산을 함께 공유하는 가장 친한 친구, 짝꿍, 동반자를 뜻하는 은어다. 깜보, 깜부, 깐보라고도 한다. 어원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평안도 방..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14. 오즈의 마법사 〈오즈의 마법사〉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1939)〉와 함께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대의 절정기에 제작된 .. 오즈의 마법사 출처 영화사를 바꾼 명장면으로 영화 읽기
  15. 김민기 대한민국의 음악가, 연출가, 문화운동가. 1970년대 대한민국 대중음악의 품격을 높인 대표적인 음악가이자.. 김민기 출처 다음백과
  16. 그리운 금강산 「그리운 금강산」은 한상억 작사, 최영섭 작곡의 예술 가곡이다. 4/4박자의 못갖춘마디로 시작되는 3개의 큰악절로 이루어진 세도막 형식의 가곡이다. 1961년 8월 18일에 완성된 이 곡은 1961년 9월 7일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7. 차례 지내는 순서 명절에 지내는 제사인 차례를 지내는 방식. 이전에는 명절과 매달 초하루, 보름마다 꼭두새벽부터 차례를 지.. 차례 지내는 순서 출처 다음백과
  18. 시제 춘하추동의 길일이나 절일에 조상에게 행하는 제례. 사시제(四時祭)·시사(時祀)·시향(時享)·절사(節祀)·.. 시제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 〈론 강의 별이 빛나는 밤〉 파리를 떠나 아를에 도착한 고흐는 론 강의 밤 풍경에 깊이 매료되었고, 동생 테오에게 ‘캄캄한 어둠이지만.. 빈센트 반 고흐 〈론 강의 별이 빛나는 밤〉 출처 오르세 미술관에서 꼭 봐야 할 그림
  20. 단심가 이방원의 〈하여가〉에 답해 지은 것으로 충성심을 보이는 대표적 노래이다. 이방원은 아래의 내용의 시를 지어 정몽주의 마음을 떠보았다.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우리도 .. 출처 다음백과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