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1. BEST 01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BEST 02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조문하는 방법 출처 다음백과
  3. BEST 03 삼우제 장사를 지낸 후 세 번째 지내는 제사. 망자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하며, 우제라.. 고 이한열군 삼우제 출처 다음백과
  4. BEST 04 프랑켄슈타인 1930년대 유니버설스튜디오의 전문 장르는 적은 제작비로 신속하게 만들 수 있는 B급 영화 중에서도 공포.. 괴물이 어린 소녀를 살해하는 장면 출처 영화사를 바꾼 명장면으로 영화 읽기
  5. 애국가 한국의 국가. 나라 사랑의 정신을 일깨우는 노래로서의 애국가는 갑오개혁 이후로 여러 사람이 만들었으며 <.. 애국가 출처 다음백과
  6. 빙부·빙모 빙부(聘父)는 다른 사람의 장인을, 빙모(聘母)는 다른 사람의 장모를 일컫는 말이다. 결혼한 남성을 기준으로 한 말로, 빙부는 아내의 아버지(장인)를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빙부와 빙모 모두 현대 한국에서는 주로.. 출처 다음백과
  7. 서기 서기는 대만의 영화배우다. 홍콩에서 성인잡지의 모델로 활동하다가 1990년대 중반 영화배우로 데뷔하였고 .. 서기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8. 배론성지 배론성지는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구학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천주교 성지이다. 조선 후기 천주교 박해가 .. 출처 대한민국 구석구석
  9. 화이트데이 좋아하는 사람에게 사탕을 선물하는 날. 흔히 발렌타인데이에 초콜릿을 받은 사람이 답례하는 날로 여겨진다... 출처 다음백과
  10. 김민기 대한민국의 음악가, 연출가, 문화운동가. 1970년대 대한민국 대중음악의 품격을 높인 대표적인 음악가이자.. 김민기 출처 다음백과
  11. 깐부 깐부는 딱지치기나 구슬치기와 같은 놀이를 할 때 동맹을 맺고 놀이 자산을 함께 공유하는 가장 친한 친구, 짝꿍, 동반자를 뜻하는 은어다. 깜보, 깜부, 깐보라고도 한다. 어원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평안도 방..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12. 김광석 김광석은 진솔한 목소리로 서정적인 발라드 및 1970년대 모던포크의 맥을 잇는 포크풍 노래를 주로 불렀다.. 김광석 거리의 김광석 동상 출처 다음백과
  13. 지방 쓰는 법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대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서 쓰는 신주 대신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말한다. 깨.. 부모 지방 예시 출처 다음백과
  14. 스트로베리문 스트로베리문은 미국 북동부 인디언들이 6월의 보름달에 붙인 이름으로, 유럽에서는 ‘허니문’, ‘로즈 문’ 등으로 불린다. 미국의 원주민은 계절 파악을 위해, 각 달에 보이는 보름달에 동물이나 식물, 계절의 이벤트..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15. 롯데월드타워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에 건축된 초고층 복합 건물. 원래 '제2롯데월드'라는 이름으로 추진되었으나 201.. 롯데월드타워 출처 다음백과
  16. 리틀 포레스트 실제로 토호쿠 지방에서 자급자족 생활을 했던 작가 이가라시 다이스케의 경험이 직접적으로 반영된 작품. 『.. 리틀 포레스트 출처 영화와 드라마로 제작된 만화
  17. 차례 지내는 순서 명절에 지내는 제사인 차례를 지내는 방식. 이전에는 명절과 매달 초하루, 보름마다 꼭두새벽부터 차례를 지.. 차례 지내는 순서 출처 다음백과
  18.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신점리에 있는 은행나무. 1962년 12월 7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42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14m로 수령은 1,100년으로 추정된다. 가지는 동서로 28.1m, 남북으로 2..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 반야심경 『반야심경(般若心經)』은 반야 경전의 핵심 사상인 공사상을 요약하여 압축적으로 풀어낸 불교 경전이다. 짧은 분량으로 한국에서는 독송 등 의례용으로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주로 현장이 번역한 판본을 독송한다. 산스크..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 비계 건설 및 보수공사, 건물·기계를 청소할 때 작업인부와 자재를 들어올리고 받쳐주기 위해 쓰며 모양과 쓰임새.. 트레슬 비계 출처 다음백과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