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1. BEST 01 소서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열한 번째 절기. 24절기 하지와 대서 사이에 들며, 음력 6월,.. 풍속도 / 김매기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BEST 02 소서 소서는 24절기의 열한째로, 음력으로는 6월절(六月節)이고 양력으로는 7월 7, 8일 무렵입니다. 본격적.. 피사리 출처 하루하루가 잔치로세
  3. BEST 03 스테이블코인 스테이블코인이란 법정화폐와 연동돼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암호 화폐다.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달러나 유로화 등 법정 화폐와 1대 1로 가치가 고정되어 있는데, 보통 1코인이 1달러의 가치를 갖도록 설계된..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4. BEST 04 아스퍼거 증후군 [분류] 뇌신경정신질환, 소아청소년질환 [발생 부위] 기타 [증상] 감각 과민, 감정 변화, 대인관계 어려움 아스퍼거 증후군 출처 질병백과
  5. 차상위계층 차상위계층은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50% 이하이면서 기초생활수급자에 해당하지 않는 계층을 말한다. 2023년도 기준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기준으로 2022년 512만1080원 대비 5.47% 인상된 540..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6. 브릭스 2000년대를 전후하여 빠른 경제성장세를 보인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5개국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2001년 미국의 투자회사인 골드만삭스의 보고서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BRICs)로.. 출처 경제금융용어 700선
  7. 통풍 [분류] 근골격질환 [발생 부위] 발, 손, 팔 [증상] 무릎 부위 통증, 발의 통증, 열, 오한, 환부 부종 통풍 출처 질병백과
  8. 칠석 전설 속의 견우와 직녀가 오작교에서 만나는 날인 음력 7월 7일에 행해지는 세시풍속. 칠석은 양수인 홀수 7이 겹치는 날이어서 길일로 여긴다. 이 날은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까막까치들이 놓은 오작교(烏鵲橋..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9. 주빌리 주빌리는 특정 기념주기를 뜻하는 말로 고대 이스라엘에서 50년마다 열린 안식년에서 유래했다. 그해 노예는 풀려나고 사면과 부채 탕감 등이 이뤄졌다. 유럽 왕가에서는 즉위 25주년에 실버 주빌리, 50주년에 골든 ..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10. 대상포진 [분류] 감염성 질환, 피부질환 [발생 부위] 피부 [증상] 두통, 딱지, 발진, 환부 통증 대상포진 출처 질병백과
  11. 외환죄 대외적으로 국가의 존립에 위해를 초래하는 범죄(형법 제92~104조)의 총칭. 일반적으로 그 형기가 대단히 무겁게 되어 있는데(특히 제93조의 여적죄는 절대적 사형에 해당함), 이는 원칙적으로 국민의 국가에 대한.. 출처 다음백과
  12. 실업급여 고용보험에 가입한 노동자가 실직 후 보다 안정적으로 재취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급여를 지급하는 .. 실업급여 출처 다음백과
  13. 복날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의 초복·중복·말복, 삼복 첫 번째 복날을 초복(初伏)이라 하고, 두 번째 복날을.. 삼계탕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4. 냉방병 [분류] 건강증진 [발생 부위] 전신 [증상] 권태감, 복부 불편감, 설사, 소화불량, 재채기, 코막힘, 콧물 냉방병 출처 질병백과
  15. 족저 근막염 [분류] 근골격질환 [발생 부위] 발 [증상] 발의 통증, 압통 족저 근막염 출처 질병백과
  16. 이석증 [분류] 귀코목질환 [발생 부위] 귀 [증상] 구토, 안구진탕, 어지러움 이석증 출처 질병백과
  17. 빙부·빙모 빙부(聘父)는 다른 사람의 장인을, 빙모(聘母)는 다른 사람의 장모를 일컫는 말이다. 결혼한 남성을 기준으로 한 말로, 빙부는 아내의 아버지(장인)를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빙부와 빙모 모두 현대 한국에서는 주로.. 출처 다음백과
  18. 수족구병 [분류] 감염성 질환 [발생 부위] 전신, 피부 [증상] 두통, 물집, 발진, 열, 피부소양감, 환부 통증 수족구병 출처 질병백과
  19. 부정맥 [분류] 순환기질환, 응급질환 [발생 부위] 가슴 [증상] 가슴 두근거림, 실신, 어지러움 부정맥 출처 질병백과
  20. 근로장려금 일은 하지만 소득이 낮아 생활이 어려운 근로자, 종교인, 사업자(전문직 제외)와 가족에게 장려금을 지급함.. 근로장려금 출처 다음백과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