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1. BEST 01 마야 문명 마야 문명은 중남미의 마야 족을 비롯한 인디언들이 이룩한 문명으로 잉카 문명과 함께 특히 뛰어난 문명이다.. 마야 문명의 유적 출처 학습그림백과
  2. BEST 02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BEST 03 살수 조선 후기의 병종인 삼수군(三手軍) 가운데 칼·창 등 단병기(短兵器)를 들고 싸우는 군대조직. 임진왜란을 치르는 과정에서 척계광(戚繼光)의『기효신서(紀效新書)』에 기록된 절강병법(浙江兵法)이 왜군방어에 효과적이라..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 BEST 04 치첸이트사 마야문명은 현재 중앙아메리카의 멕시코 남부 치아파스에서 과테말라 · 유카탄반도의 전역과 온두라스 일부에 .. 치첸이트사 출처 세계 불가사의 여행
  5. 세계 7대 불가사의 기적에 가까울 정도로 놀라운 인공 구조물이나 자연 경관을 표현하는 말로 사용된다. 고대의 7대 불가사의는.. 피라미드 출처 다음백과
  6. 잉카 문명 오래전부터 안데스의 고원 지대에는 사람이 살았어요. 잉카 제국이 처음 만들어진 것은 12세기. 쿠스코 분.. 출처 처음 만나는 세계 문명
  7.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조문하는 방법 출처 다음백과
  8. 이문열에 관한 소문과 사실들 ―당신의 이력을 훑어보면 먼저 눈에 띄는 것이 정규 교육 과정을 끝까지 밟지 못한 채 중도에서 벗어났다는.. 안동고등학교 1학년 시절 출처 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 4
  9. 지방 쓰는 법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대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서 쓰는 신주 대신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말한다. 깨.. 부모 지방 예시 출처 다음백과
  10. 삼우제 장사를 지낸 후 세 번째 지내는 제사. 망자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하며, 우제라.. 고 이한열군 삼우제 출처 다음백과
  11. 차례상 차리는 방법 차례를 지낼 때 조상에게 올리는 차례상을 차리는 방식. 각 지역과 가정에 따라 차례상을 차리는 방법은 모.. 차례상 차리는 방법 출처 다음백과
  12.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 성격의 유형을 스스로 진단하여 16가지 유형의 하나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한 성격유형검사의 하나. 1944.. mbti 유형 출처 다음백과
  13. 안심번호 실제 전화번호가 아닌 이동통신사업자, 또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 QR코드 발급기관에서 임의로 생성한 가상.. 출처 다음백과
  14. 광해군 광해군은 1575년(선조 8)에 선조와 후궁 공빈 김씨 사이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름은 혼(琿)이다.. 제15대 광해군(光海君, 1575-1641) 출처 조선국왕전
  15. 적멸보궁 사찰에서 석가모니불의 진신사리를 봉안하는 불교건축물. 석가모니불이 『화엄경』을 설한 중인도 마가다국 가야.. 양산 통도사 대웅전과 금강계단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6. 49재 사람이 죽은 지 49일째에 좋은 곳에 태어나길 기원하며 거행하는 불공 의식. 죽은 날을 1일로 하여 7일 마다 7번 불공 의식을 지내는 것을 의미한다. 대승불교의 전승에서 이 기간 동안 죽은 자는 생전의 공덕을 .. 출처 다음백과
  17. 가스라이팅 상황을 조작해 상대방이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들어 판단력을 잃게 하는 정서적 학대 행위. '심리 지배'라고.. 등불 출처 다음백과
  18. 제사상에 놓인 음식에 정해진 자리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어느 문화이든지 그들이 생각하는 우주의 모습은 모든 문화 속에 배어 있습니다. 절에 가서 법당에 그려놓은.. 출처 정말 궁금한 우리 예절
  19. 보문사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낙가산(洛迦山)에 있는 삼국시대 에 창건된 우리나라 3대 관음영지 중 하나인 사찰. 강화 보문사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 시절인연 모든 사물의 현상이 시기가 되어야 일어난다는 말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시절인연은 불교의 업설과 인과응보설에 의한 것으로 사물은 인과의 법칙에 의해 특정한 시간과 공간의 환경이 조성되어야 일어난다는 뜻이다. 중국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