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1. BEST 01 한글 조선의 세종대왕이 창제하여 1446년에 반포된 문자 체계.1443년 창제되어 1446년에 반포되었다. 반.. 한글 출처 다음백과
  2. BEST 02 한글날노래 최현배 작사·박태현 작곡으로 한글 창제 및 반포를 기념하는 노래. 사장조 음계를 사용하고 4분의 4박자로 24마디의 세도막(ABC) 형식이다. 4 마디로 구성된 작은악절의 리듬이 A와 C에서 거의 변하지 않고 반..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BEST 03 훈민정음 조선 4대 임금 세종이 1443년 창제하고 1446년 반포한 한국 고유의 문자체계, 또는 그를 설명한 책.. 훈민정음 출처 다음백과
  4. BEST 04 훈민정음 해례본 세종이 창제한 글자인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운용법 등을 설명한 한문 해설서로 《훈민정음》 원본에 해당한다.. 훈민정음 해례본 복간본 출처 다음백과
  5. 세종 우리나라 사람치고 세종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의 초상화를 보노라면 누구나 세종이 미남형의 얼굴.. 세종대왕 출처 이이화의 인물한국사
  6.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7. 스승의 날이 세종대왕 탄신일인 까닭 5월 15일 하면 으레 스승의 날을 먼저 떠올리지만, 이날은 세종이 태어나신 날이기도 합니다. 세종은 우.. 세종대왕 출처 하루하루가 잔치로세
  8. 한글 한글은 조선시대 제4대 임금인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이라는 이름으로 창제하여 반포한 우리나라 고유의 문자이다. 어려운 한자를 빌려 문자로 사용할 경우 민족의 정서는 물론이고 정확한 정보 기록과 소통 자체가 불가능하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9. 세종 훈민정음 창제 세종이 우리말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할 수 있는 우리 문자 '훈민정음'을 만들었다. '백성을 가르치는 바.. 국보 70호 훈민정음 혜례본 출처 세계사와 함께 보는 타임라인 한국사 3
  10. 크메르루주 게릴라전을 통해 권력을 장악한 후 1975~79년 캄보디아를 통치한 급진적인 공산주의 운동단체. Khme.. 크메르루주(Khmer Rouge) 출처 다음백과
  11. 훈민정음 해례본 훈민정음 해례본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만든 원리와 용례를 상세하게 설명한 글로, 세종이 직접 서문을 쓰고 정인지 등의 신하들에게 글자에 대한 설명을 적게 했다.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하며 국보 제70호로 지정돼..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12. 한로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열일곱 번째 절기. 24절기. 추분과 상강 사이에 들며, 음력으로 9월, 양력으로 10월 8일경이다. 공기가 점점 차가워지고, 말뜻 그대로 찬이슬이 맺힌다, 세시명절인 중양..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3. 세종 세종은 1397년(태조 6)에 태종과 원경왕후 사이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이름은 도(祹), 자는 원.. 세종대왕 출처 조선국왕전
  14. 베드로 초기 그리스도교 교회에서는 수제자이며 예수 그리스도의 열두 제자 가운데 한 사람이다. 로마 가톨릭 교회에.. 베드로 출처 다음백과
  15. 이모카세 이모카세란 음식점 여 사장님을 친근하게 부르는 말인 ‘이모’와 일본식 표현인 ‘오마카세(お任せ)’가 합쳐진 말로, 별도의 메뉴 없이 ‘이모님’이라 불리는 사장님이 알아서 음식을 내주는 것을 말한다. 오래된 음식점..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16.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조문하는 방법 출처 다음백과
  17. 가스라이팅 상황을 조작해 상대방이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들어 판단력을 잃게 하는 정서적 학대 행위. '심리 지배'라고.. 등불 출처 다음백과
  18. 세종의 가계도 [출생] 1397년 [사망] 1450년 [재위] 1418년 08월 ~ 1450년 02월 세종의 가계도 출처 조선의 숨겨진 왕가 이야기
  19. 한로 추분과 상강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하나. 양력 10월 8일 무렵이다. 태양의 황경이 195°이며, 추분 뒤 15일째 날로, 밤의 길이가 낮보다 점차 길어지는 절기이다. 한로는 찰 '한(寒)', 이슬 '로(露)'.. 출처 다음백과
  20. 점입가경 경치가 점점 들어갈수록 좋아짐을 일컫는 말이다. 어떤 사건이나 얘기가 그 내용을 깊이 들어갈수록 점점 더.. 점입가경 출처 우리말 1000가지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