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1. BEST 01 빌런 빌런은 무언가에 집착하거나 평범한 사람과 다른 행동을 보이는 괴짜를 일컫는 말이다. 이 용어는 라틴어 ‘.. 빌런(villain)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2. BEST 02 가스라이팅 상황을 조작해 상대방이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들어 판단력을 잃게 하는 정서적 학대 행위. '심리 지배'라고.. 등불 출처 다음백과
  3. BEST 03 초치 초치는 사전적 의미로 ‘불러들인다’는 뜻이지만 외교적 용어로 상대국의 행동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그에 대한 설명이 필요한 경우 상대국 외교관을 외교 당국 사무실로 부르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사실상 강한 항의..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4. BEST 04 스모킹 건 특정 행위나 가설을 입증하는 결정적 증거 어떤 행위나 현상에 대한 확실한 증거를 의미하는 말이다. 누군가.. 출처 다음백과
  5.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질역재.. 삼재 부적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6. 영조의 가계도 [출생] 1694년 [사망] 1776년 [재위] 1724년 08월 ~ 1776년 03월 영조의 가계도 출처 조선의 숨겨진 왕가 이야기
  7. 삼우제 장사를 지낸 뒤 죽은 이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장사 당일날 지내는 제사는.. 고 김영삼 전 대통령 삼우제 출처 우리말 1000가지
  8.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조문하는 방법 출처 다음백과
  9. 폴 포트 세계를 놀라게 한 악당들은 수없이 많지만 이 중에서도 캄보디아의 폴 포트(Pol Pot)는 서열이 상위급.. 크메르루주의 지도자이자 민주캄푸치아 공화국의 총리였던 폴 포트 출처 미스터리와 진실, 인물편
  10. 사순 시기 기독교에서 재의 수요일에 시작해 부활절 전까지 계속되는 시기. 예수 그리스도가 광야에서 금식한 것을 본따.. 사순절(Lent) 출처 다음백과
  11. 중종의 가계도 [출생] 1488년 [사망] 1544년 [재위] 1506년 09월 ~ 1544년 11월 출처 조선의 숨겨진 왕가 이야기
  12. 신앙촌 1957년부터 신앙공동생활을 위해 설립된 촌락. 1957년 박태선과 그를 따르는 목사 및 장로에 의해 설.. 신앙촌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3. 윤달 음력에서 평년의 12개월보다 1개월 더 보태진 달. 윤달은 태음력상 역일(曆日)과 계절이 서로 어긋나는 것을 막기 위해 끼워 넣은 달이다. 태음력에서의 1달은 29일과 30일을 번갈아가며 사용하는데 이를 1년 1..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4. 소시오패스 사회를 뜻하는‘소시오(socio)’와 병리 상태를 의미하는 ‘패시(pathy)’의 합성어로 법규 무시, .. 소시오패스 출처 똑소리나는 일반상식
  15. 호산나 예수님께서 장엄하게 예루살렘에 입성하실 때 군중들은 옷과 나뭇가지들을 길에 깔고 호산나를 외치면서 그분을 맞이하였다. 호산나라는 말은 시편 118장 25절에서 온 것으로 보이는데, 본래 ‘지금 구원하소서’ 또는 .. 출처 신약성경 용어사전
  16. 유월절 가장 의미 있는 유대인의 명절 중 하나이다. 유월절 축제 음식으로는 파슬리(parseley)나 셀러리(c.. 유월절 출처 1% 위한 상식백과
  17. 인조의 가계도 [출생] 1595년 [사망] 1649년 [재위] 1623년 03월 ~ 1649년 05월 인조의 가계도 출처 조선의 숨겨진 왕가 이야기
  18. 리플리증후군 자신의 현실을 부정하면서 자신이 만든 허구를 진실이라고 믿고 거짓말과 행동을 반복하는 반사회적 인격장애... 태양은 가득히(1960) 출처 다음백과
  19. 갓생 갓생이란 신을 뜻하는 영어 ‘갓(God)’과 ‘인생’을 합친 말로, 현실에 집중하면서 성실한 생활을 하고, 생산적으로 계획을 실천해나가는 이른바 ‘타의 모범’이 되는 삶을 의미한다. 주로 MZ세대가 커뮤니티 등에..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20. 49재 사람이 죽은 지 49일째에 좋은 곳에 태어나길 기원하며 거행하는 불공 의식. 죽은 날을 1일로 하여 7일 마다 7번 불공 의식을 지내는 것을 의미한다. 대승불교의 전승에서 이 기간 동안 죽은 자는 생전의 공덕을 .. 출처 다음백과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