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1. BEST 01 설날 음력 정월 첫날을 이르는 말. 원단, 세수, 연수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설'이라고 한다. 추석과 함께.. 설날 출처 다음백과
  2. BEST 02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BEST 03 원경왕후 조선 태종의 아내이자 세종대왕의 어머니. 원경왕후 민씨는 두 차례 왕자의 난에 친정 여흥 민씨를 동원하여.. 헌릉(獻陵) 출처 다음백과
  4. BEST 04 이숙번 조선전기 좌군총제, 지승추부사, 지의정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안성(安城). 아버지는 이경(李坰)이다. 1393년(태조 2) 문과에 급제하였다. 1398년에 지안산군사(知安山郡事)로 있으면서 이방원(李芳遠..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칼기 납북사건 1969년 12월 11일 대한항공(KAL) 여객기가 북한으로 공중 납치된 사건. 이 여객기는 이날 낮 12시 23분 강릉발 서울행 대한항공 소속 YS-11A여객기로 승무원 4명과 승객 47명을 태우고 대관령 상공..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6. 외지부 조선시대에는 신분제도가 엄격했지만 공정한 법치사회를 지향했으므로 양반 상놈 할 것 없이 누구나 소송을 제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실상에 있어서는 양천의 차별이 뚜렷했다. 당시 양반이나 부녀자들은 소송 당사자로 출.. 출처 다음백과
  7. 정조의 가계도 [출생] 1752년 [사망] 1800년 [재위] 1776년 03월 ~ 1800년 6월 정조의 가계도 출처 조선의 숨겨진 왕가 이야기
  8. 태종의 가계도 [출생] 1367년 [사망] 1422년 [재위] 1400년 11월 ~ 1418년 08월 태종의 가계도 출처 조선의 숨겨진 왕가 이야기
  9. 의빈성씨 조선후기 제22대 정조의 후궁. 선비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권세가 홍봉한(洪鳳漢)의 청지기(廳直) 성윤우이다. 어릴 때 궁중에 들어왔다. 정조의 눈에 들어 1782년(정조 6) 9월 왕자를 낳아 같은 해..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0. 문정왕후 조선 시대 반가의 여성들은 대부분 언문이나 천자문 등 소통에 필요한 기본적인 문자만 체득했을 뿐 정규 교.. 문정왕후 어보 출처 다음백과
  11. 세종 세종은 1397년(태조 6)에 태종과 원경왕후 사이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이름은 도(祹), 자는 원.. 세종대왕 출처 조선국왕전
  12.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조문하는 방법 출처 다음백과
  13. 지방 쓰는 법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대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서 쓰는 신주 대신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말한다. 깨.. 부모 지방 예시 출처 다음백과
  14. 세종의 가계도 [출생] 1397년 [사망] 1450년 [재위] 1418년 08월 ~ 1450년 02월 세종의 가계도 출처 조선의 숨겨진 왕가 이야기
  15. 중종의 가계도 [출생] 1488년 [사망] 1544년 [재위] 1506년 09월 ~ 1544년 11월 출처 조선의 숨겨진 왕가 이야기
  16. 삼우제 장사를 지낸 후 세 번째 지내는 제사. 망자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하며, 우제라.. 고 이한열군 삼우제 출처 다음백과
  17. 자격정지 수형자에게 당연히 또는 특별한 선고로써 일정한 자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일정 기간 정지시키는 명예형. 현행 「형법」상 자격정지는 범죄의 성질에 따라서 병과형으로 하는 것과 선택형으로 하는 것이 있다. 자격정지를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8. 순조 순조는 1790년(정조 14) 6월 18일에 정조와 후궁 수빈 박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정조의 정비 효의.. 제23대 순조(純祖, 1790∼1834년) 출처 조선국왕전
  19. 49재 사람이 죽은 지 49일째에 좋은 곳에 태어나길 기원하며 거행하는 불공 의식. 죽은 날을 1일로 하여 7일 마다 7번 불공 의식을 지내는 것을 의미한다. 대승불교의 전승에서 이 기간 동안 죽은 자는 생전의 공덕을 .. 출처 다음백과
  20. 격물치지 격물치지는 『대학』의 삼강령 팔조목에서 도덕적 수양을 기초로 유가적 도덕 정치의 이상을 실현하는 인식론적 개념이다. 이는 유학의 도덕적 인식과 인사의 실천 규칙과 이치를 궁구함으로써 인식을 확대하고 실천적 지혜를..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