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1. BEST 01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BEST 02 만추 이만희(李晩熙) 연출의 영화. 대구교도소에서 복역중인 모범여죄수 혜림(문정숙)은 어머니의 성묘(省墓) 휴가를 얻어 인천으로 가는 열차에 올라탔다가 우연히 청년 훈(신성일)과 만나게 된다. 열차에서 우연히 한자리에..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BEST 03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조문하는 방법 출처 다음백과
  4. BEST 04 빙부·빙모 빙부(聘父)는 다른 사람의 장인을, 빙모(聘母)는 다른 사람의 장모를 일컫는 말이다. 결혼한 남성을 기준으로 한 말로, 빙부는 아내의 아버지(장인)를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빙부와 빙모 모두 현대 한국에서는 주로.. 출처 다음백과
  5.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월곡안길(원리)에 있는 은행나무. 1998년 12월 23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수령은 약 800년으로 추정되며, 나무의 높이는 28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는 8.5m이다. 이 나무는..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6. 삼우제 장사를 지낸 후 세 번째 지내는 제사. 망자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하며, 우제라.. 고 이한열군 삼우제 출처 다음백과
  7. 프랑켄슈타인 1818년 나온 소설로 원제목은 〈프랑켄슈타인 : 현대의 프로메테우스〉이다. 이 소설 속에서 빅토르라는 .. 프랑켄슈타인 출처 다음백과
  8. 애동지 동짓달 초순에 드는 동지를 일컫는 말. 24절기의 하나인 동지는 양력 12월 22일경, 음력 11월이며,.. 시루팥떡 출처 다음백과
  9. 애국가 한국의 국가. 나라 사랑의 정신을 일깨우는 노래로서의 애국가는 갑오개혁 이후로 여러 사람이 만들었으며 <.. 애국가 출처 다음백과
  10. 차례 지내는 순서 명절에 지내는 제사인 차례를 지내는 방식. 이전에는 명절과 매달 초하루, 보름마다 꼭두새벽부터 차례를 지.. 차례 지내는 순서 출처 다음백과
  11. 지방 쓰는 법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대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서 쓰는 신주 대신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말한다. 깨.. 부모 지방 예시 출처 다음백과
  12. 화악산 적천사 경상북도 청도군 청도읍 화악산(華岳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원효가 창건한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말사이다. 사기(寺記)에 의하면, 664년(문무왕 4) 원효(元曉)가 수도..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3. 시제 춘하추동의 길일이나 절일에 조상에게 행하는 제례. 사시제(四時祭)·시사(時祀)·시향(時享)·절사(節祀)·.. 시제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4.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 바티칸의 산 피에트로 대성당에 큰 감명을 받고 돌아온 바르셀로나의 한 출판업자가 바르셀로나만의 대성당을 ..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성가족 성당, Temple Expiatori de la Sagrada Família) 출처 ENJOY 스페인 · 포르투갈
  15. 김춘수의 〈꽃〉에 나오는 꽃은 무슨 꽃일까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김춘수의 〈꽃〉에 나오는 꽃은 무슨 꽃일까 출처 문득, 묻다 : 첫 번째 이야기
  16. 언박싱 구입한 물건을 개봉하는 일, 또는 그 과정을 보여주는 영상. '언박싱 영상'이라고도 한다. 2000년을 전후하여 대중화되기 시작한 유튜브 등의 영상 공유 플랫폼을 통해, 새로 출시된 전자기기를 구입한 후 상자를 .. 출처 다음백과
  17. 롯데월드타워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에 건축된 초고층 복합 건물. 원래 '제2롯데월드'라는 이름으로 추진되었으나 201.. 롯데월드타워 출처 다음백과
  18. 소설 24절기의 스무번째는 소설(小雪)입니다. 이때부터 점차 겨울로 들어서지만 아직 따뜻한 햇볕이 남아 있어 .. 김장 출처 하루하루가 잔치로세
  19. 낙화암 낙화암은 부여군 부소산 북쪽 백마강(금강) 변에 서 있는 바위 절벽이다. 백제 사비성이 나당연합군에게 점.. 출처 대한민국 구석구석
  20. 김민기 대한민국의 음악가, 연출가, 문화운동가. 1970년대 대한민국 대중음악의 품격을 높인 대표적인 음악가이자.. 김민기 출처 다음백과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