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1. BEST 01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BEST 02 클로드 모네 프랑스 인상파의 창시자. 인상파라는 명칭이 그의 작품 〈인상, 해돋이〉에서 비롯되었다. 빛은 곧 색이라는.. 클로드 모네 출처 세상에서 가장 비싼 그림
  3. BEST 03 도슨트 미술관이나 박물관 등에서 전시작품을 설명하는 전문 안내인 미술관이나 박물관 등에서 전시작품을 설명하는 사.. 도슨트 출처 다음백과
  4. BEST 04 인상주의 19세기말과 20세기초 주로 프랑스에서 전개된 예술운동. (프). impressionnisme. 회화에서.. 드뷔시 (Achille Claude Debussy) 출처 다음백과
  5. 삼우제 장사를 지낸 후 세 번째 지내는 제사. 망자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하며, 우제라.. 고 이한열군 삼우제 출처 다음백과
  6. 애국가 한국의 국가. 나라 사랑의 정신을 일깨우는 노래로서의 애국가는 갑오개혁 이후로 여러 사람이 만들었으며 <.. 애국가 출처 다음백과
  7. 세시봉 1960년대 서울 무교동에 있었던 최초의 음악감상실. 대학생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팜 음악을 들으며 문.. 세시봉 출처 다음백과
  8. 블랙데이 밸런타인데이와 화이트데이의 연장선에서 발생한 비공식 기념일. 매년 4월 14일이다. 동아시아 몇몇 나라에.. 짜장면 출처 다음백과
  9. 깐부 깐부는 딱지치기나 구슬치기와 같은 놀이를 할 때 동맹을 맺고 놀이 자산을 함께 공유하는 가장 친한 친구, 짝꿍, 동반자를 뜻하는 은어다. 깜보, 깜부, 깐보라고도 한다. 어원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평안도 방..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10. 인상주의 인상주의는 살롱전에 대한 저항으로 1874년에 ‘화가, 조각가, 판화가, 무명예술가 협회전’을 처음 연 .. 클로드 모네 〈인상: 해돋이〉 출처 오르세 미술관에서 꼭 봐야 할 그림
  11. 빈센트 반 고흐 서양 미술사에서 가장 위대한 화가 중 한 사람으로 20세기 미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평생 구백여 점.. 빈센트 반 고흐 / 자화상(1889) / 캔버스에 유화 / 57.8×44.5cm 출처 세상에서 가장 비싼 그림
  12.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조문하는 방법 출처 다음백과
  13. 14일 데이 매월 14일마다 있는 비공식 기념일이다. 2월 14일 밸런타인데이를 기준으로 상업적 목적으로 만들어진 경.. 밸런타인데이 출처 다음백과
  14. 배론성지 배론성지는 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 구학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천주교 성지이다. 조선 후기 천주교 박해가 .. 출처 대한민국 구석구석
  15.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신점리에 있는 은행나무. 1962년 12월 7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42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14m로 수령은 1,100년으로 추정된다. 가지는 동서로 28.1m, 남북으로 2..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6. 화이트데이 좋아하는 사람에게 사탕을 선물하는 날. 흔히 발렌타인데이에 초콜릿을 받은 사람이 답례하는 날로 여겨진다... 출처 다음백과
  17. 데칼코마니 어떤 무늬를 특수한 종이에 찍어 얇은 막을 이루게 만든 뒤 다른 표면에 옮기는 것. (영). decal/decalcomania. 인쇄기에 넣을 수 없는 물체에 장식을 하거나 상표를 붙일 때 널리 사용한다. 그 용.. 출처 다음백과
  18. 빙부·빙모 빙부(聘父)는 다른 사람의 장인을, 빙모(聘母)는 다른 사람의 장모를 일컫는 말이다. 결혼한 남성을 기준으로 한 말로, 빙부는 아내의 아버지(장인)를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빙부와 빙모 모두 현대 한국에서는 주로.. 출처 다음백과
  19. 〈론 강의 별이 빛나는 밤〉 파리를 떠나 아를에 도착한 고흐는 론 강의 밤 풍경에 깊이 매료되었고, 동생 테오에게 ‘캄캄한 어둠이지만.. 빈센트 반 고흐 〈론 강의 별이 빛나는 밤〉 출처 오르세 미술관에서 꼭 봐야 할 그림
  20. 단심가 이방원의 〈하여가〉에 답해 지은 것으로 충성심을 보이는 대표적 노래이다. 이방원은 아래의 내용의 시를 지어 정몽주의 마음을 떠보았다.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우리도 .. 출처 다음백과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