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1. BEST 01 설날 음력 정월 첫날을 이르는 말. 원단, 세수, 연수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설'이라고 한다. 추석과 함께.. 설날 출처 다음백과
  2. BEST 02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BEST 03 차례 지내는 순서 명절에 지내는 제사인 차례를 지내는 방식. 이전에는 명절과 매달 초하루, 보름마다 꼭두새벽부터 차례를 지.. 차례 지내는 순서 출처 다음백과
  4. BEST 04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조문하는 방법 출처 다음백과
  5. 지방 쓰는 법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대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서 쓰는 신주 대신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말한다. 깨.. 부모 지방 예시 출처 다음백과
  6. 삼우제 장사를 지낸 후 세 번째 지내는 제사. 망자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하며, 우제라.. 고 이한열군 삼우제 출처 다음백과
  7. 삼우제 장사를 지낸 뒤 죽은 이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장사 당일날 지내는 제사는.. 고 김영삼 전 대통령 삼우제 출처 우리말 1000가지
  8. 절규 “두 친구와 함께 길을 걷고 있었다. 해가 뉘엿뉘엿 지고 있었다. 내 기분이 우울해졌다. 갑자기 하늘이 .. 에드바르 뭉크, 〈절규〉, 패널에 파스텔화 / 79×59cm 출처 세상에서 가장 비싼 그림
  9. 입춘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첫 번째 절기. 24절기 음력 1월, 양력 2월 4일경이며, 태양.. 춘축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0. 진또배기 솟대신앙의 대상이 되는 신앙물의 하나. 솟대신앙은 청동기시대부터 동북아시아 일대에 전승된 샤머니즘 문화권의 하나이다. 장대 위에 주로 새를 세워 마을의 안녕이나 풍년, 풍어를 기원한다. '진또배기'는 강원도 지방.. 출처 다음백과
  11. 애국가 한국의 국가. 나라 사랑의 정신을 일깨우는 노래로서의 애국가는 갑오개혁 이후로 여러 사람이 만들었으며 <.. 애국가 출처 다음백과
  12. 말할 수 없는 비밀 영화 〈말할 수 없는 비밀〉은 중화권 최고의 인기 가수이자 만능 엔터테이너인 저우제룬(周杰倫)이 각본, .. 말할 수 없는 비밀(不能說的秘密) 출처 ENJOY 타이완
  13. 제사상에 놓인 음식에 정해진 자리가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어느 문화이든지 그들이 생각하는 우주의 모습은 모든 문화 속에 배어 있습니다. 절에 가서 법당에 그려놓은.. 출처 정말 궁금한 우리 예절
  14. 사십구재 불교에서 사람이 죽은 날로부터 매 7일째마다 7회에 걸쳐서 49일 동안개최하는 종교의례. 불교의식. 죽은.. 사십구재 / 예불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5. 헌릉 헌릉은 조선 왕조를 화려하게 수놓은 풍운아 제3대 태종(1367~ 1422)과 원비 원경왕후(1365~1.. 출처 과학문화유산답사기1
  16. 설날 음력 1월 1일은 설날입니다. 이 말의 말밑(어원)을 살펴보면 '설다, 낯설다'의 '설'에서 그 유래를 .. 출처 키질하던 어머니는 어디 계실까?
  17. 세화 조선시대에 새해를 송축하고 재앙을 막기 위하여 그린 그림. 질병이나 재난 등의 불행을 사전에 예방하고 한 해 동안 행운이 깃들기를 기원하는 벽사적(辟邪的)이고 기복적(祈福的)인 성격을 띠고 전개되었다. 새해 첫날..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8. 한 해의 시작인 음력 1월 1일을 일컫는 말로 설날이라는 말과 같은 우리나라의 명절. 설날·원일·원단·원.. 계명도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 떡국 설날이면 가족이 모여 떡국을 먹으며 소원을 빌고 덕담을 나누는 것이 우리네 전통이다. 지금도 설날이면 으.. 떡국 출처 음식으로 읽는 한국 생활사
  20. 롯데월드타워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에 건축된 초고층 복합 건물. 원래 '제2롯데월드'라는 이름으로 추진되었으나 201.. 롯데월드타워 출처 다음백과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