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1. BEST 01 청명 24절기의 하나. 춘분과 곡우 사이에 들며, 음력 3월, 양력 4월 5일경이 된다. 태양의 황경이 15°에 있을 때이다. 이날은 한식의 하루 전날이거나 때로는 한식과 같은 날이 된다. 동시에 오늘날의 식목일과도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BEST 02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BEST 03 루버 기류나 빛의 투과를 조절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 louvre라고도 씀. 유리·나무와 그밖의 재료들을 이용.. 루버 출처 다음백과
  4. BEST 04 한식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 설날·단오·추석과 함께 4대 명절에 해당하는 명절. 세시풍속. 동지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이다. 설날 · 단오 · 추석과 함께 4대 명절의 하나로, 음력 2월 또는 3월에 든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조문하는 방법 출처 다음백과
  6. 삼우제 장사를 지낸 후 세 번째 지내는 제사. 망자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하며, 우제라.. 고 이한열군 삼우제 출처 다음백과
  7. 모듈러 주택 공장에서 기본 골조나 현관문 등을 만들어 조립하는 집을 말한다. 배관·배선, 부엌, 화장실, 가구 등 집.. 스페인의 모듈러 주택 출처 다음백과
  8. 벤허 벤허(1959)는 루 윌리스의 『벤허:그리스도의 이야기』를 영화한 작품으로 20세기 최고의 종교 영화로 .. 벤허(Ben Hur)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9. 삼우제 장사를 지낸 뒤 죽은 이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장사 당일날 지내는 제사는.. 고 김영삼 전 대통령 삼우제 출처 우리말 1000가지
  10. 사월의노래 박목월(朴木月) 작시·김순애(金順愛) 작곡의 예술가곡. 4마디의 피아노 전주와 2마디의 짧은 후주를 포함하여 전체 31마디로 구성된 가곡이다. 전주와 후주를 제외하면 25마디의 노래로 기존의 가요형식에서 벗어난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1. 청명 춘분과 곡우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하나. 양력 4월 5일이나 6일 무렵이다. 태양의 황경이 15°이며,.. 절기도 출처 다음백과
  12. 반딧불이 딱정벌레목 반딧불이과에 속하는 곤충. 깨끗한 하천과 습지에 살며, 발광기가 있어 빛을 낸다. 한국과 일본.. 반딧불이 출처 다음백과
  13. 만우절 만우절은 가벼운 장난이나 그럴듯한 거짓말로 남을 속이기도 하고 헛걸음을 시키기도 하는 날을 말한다. 만우절의 유래는 다양하지만 프랑스 신년 축제에서 시작됐다는 기원이 가장 유력하다. 프랑스에서는 1564년 샤를 .. 출처 에듀윌 시사상식
  14. 말할 수 없는 비밀 영화 〈말할 수 없는 비밀〉은 중화권 최고의 인기 가수이자 만능 엔터테이너인 저우제룬(周杰倫)이 각본, .. 말할 수 없는 비밀(不能說的秘密) 출처 ENJOY 타이완
  15. 김춘수의 〈꽃〉에 나오는 꽃은 무슨 꽃일까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김춘수의 〈꽃〉에 나오는 꽃은 무슨 꽃일까 출처 문득, 묻다 : 첫 번째 이야기
  16. 지방 쓰는 법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대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서 쓰는 신주 대신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말한다. 깨.. 부모 지방 예시 출처 다음백과
  17. 애국가 한국의 국가. 나라 사랑의 정신을 일깨우는 노래로서의 애국가는 갑오개혁 이후로 여러 사람이 만들었으며 <.. 애국가 출처 다음백과
  18. 단심가 이방원의 〈하여가〉에 답해 지은 것으로 충성심을 보이는 대표적 노래이다. 이방원은 아래의 내용의 시를 지어 정몽주의 마음을 떠보았다.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우리도 .. 출처 다음백과
  19. 빙부·빙모 빙부(聘父)는 다른 사람의 장인을, 빙모(聘母)는 다른 사람의 장모를 일컫는 말이다. 결혼한 남성을 기준으로 한 말로, 빙부는 아내의 아버지(장인)를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빙부와 빙모 모두 현대 한국에서는 주로.. 출처 다음백과
  20. 정읍사 백제시대 때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이 노래의 가사는 『악학궤범』 권5 시용향악정재조(時用鄕樂呈才條).. 악학궤범 / 정읍사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