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
BEST 04 칠석 전설 속의 견우와 직녀가 오작교에서 만나는 날인 음력 7월 7일에 행해지는 세시풍속. 칠석은 양수인 홀수 7이 겹치는 날이어서 길일로 여긴다. 이 날은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까막까치들이 놓은 오작교(烏鵲橋..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고음을 내는 해금과 저음을 내는 아쟁 많은 사람이 국악기 가운데 해금과 아쟁을 헷갈려 합니다. 분명히 모양새도 다르고 음역도, 연주법도 다르지..
출처 키질하던 어머니는 어디 계실까?
-
소서 소서(小暑)는 24절기 가운데 열한째 절기로 작은 더위를 뜻하지만 실은 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때인 데다 장마철과 겹쳐서 습도가 높아 불쾌지수가 높아지는 때입니다. 소서 무렵에는 논의 모가 뿌리를 내리기 시작.. 출처 키질하던 어머니는 어디 계실까?
-
대서 1년을 24개로 구분한 24절기 가운데 열두 번째 절기. 24절기 소서와 입추(立秋) 사이에 들며, 음력 6월, 양력 7월 23일경이다. 태양의 황경이 120°가 되는 때이다. 이 시기는 대개 중복(中伏) 때이며..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윤달 음력에서 평년의 12개월보다 1개월 더 보태진 달. 윤달은 태음력상 역일(曆日)과 계절이 서로 어긋나는 것을 막기 위해 끼워 넣은 달이다. 태음력에서의 1달은 29일과 30일을 번갈아가며 사용하는데 이를 1년 1..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만추 이만희(李晩熙) 연출의 영화. 대구교도소에서 복역중인 모범여죄수 혜림(문정숙)은 어머니의 성묘(省墓) 휴가를 얻어 인천으로 가는 열차에 올라탔다가 우연히 청년 훈(신성일)과 만나게 된다. 열차에서 우연히 한자리에..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