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1. BEST 01 복날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의 초복·중복·말복, 삼복 첫 번째 복날을 초복(初伏)이라 하고, 두 번째 복날을.. 삼계탕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BEST 02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BEST 03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조문하는 방법 출처 다음백과
  4. BEST 04 삼우제 장사를 지낸 뒤 죽은 이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장사 당일날 지내는 제사는.. 고 김영삼 전 대통령 삼우제 출처 우리말 1000가지
  5. 초복 음력 6월~7월에 있는 세 절기인 삼복의 하나. 복날, 즉 삼복은 초복·중복·말복을 말한다. 삼복은 소서.. 백숙 출처 다음백과
  6. 지방 쓰는 법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대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서 쓰는 신주 대신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말한다. 깨.. 부모 지방 예시 출처 다음백과
  7. 화양연화 몇 년 전 필자의 기억에 강한 비주얼로 각인되었던 〈화양연화〉에 대해 얘기해볼까 한다. 한 칼럼니스트가 .. 〈화양연화〉(2000년) 출처 패션에 쉼표를 찍다
  8. 마중물 언뜻언뜻 가을하늘이 보이기 시작하는데 아직 남은 더위가 극성을 부립니다. 8월 23일이 더위를 처분한다는.. 보기만 해도 시원한 펌프물 출처 하루하루가 잔치로세
  9. 삼우제 장사를 지낸 후 세 번째 지내는 제사. 망자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하며, 우제라.. 고 이한열군 삼우제 출처 다음백과
  10. 단심가 이방원의 〈하여가〉에 답해 지은 것으로 충성심을 보이는 대표적 노래이다. 이방원은 아래의 내용의 시를 지어 정몽주의 마음을 떠보았다.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우리도 .. 출처 다음백과
  11. 고도를 기다리며 아일랜드 태생의 극작가 베케트의 희곡(1952). 오지 않을 고도라는 사람을 기다리는 상황을 묘사한 작품으로 인간의 허무를 파헤치고 있다.→ 베케트 출처 다음백과
  12. 빙부·빙모 빙부(聘父)는 다른 사람의 장인을, 빙모(聘母)는 다른 사람의 장모를 일컫는 말이다. 결혼한 남성을 기준으로 한 말로, 빙부는 아내의 아버지(장인)를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빙부와 빙모 모두 현대 한국에서는 주로.. 출처 다음백과
  13. 페르소나 그리스 어원의 '가면'을 나타내는 말로 '외적 인격' 또는 '가면을 쓴 인격'을 뜻한다. 스위스의 심리학.. 〈400번의 구타〉(Les Quatre Cents Coups, 1959), 감독: 프랑수아 트뤼포(François Truffaut), 출연: 장 피에르 레오(Jean-Pierre Léaud) 출처 영화사전
  14. 도슨트 미술관이나 박물관 등에서 전시작품을 설명하는 전문 안내인 미술관이나 박물관 등에서 전시작품을 설명하는 사.. 도슨트 출처 다음백과
  15. 애국가 한국의 국가. 나라 사랑의 정신을 일깨우는 노래로서의 애국가는 갑오개혁 이후로 여러 사람이 만들었으며 <.. 애국가 출처 다음백과
  16. 데미안 열 살 소년 싱클레어가 20대 청년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성장소설로 친구 데미안과 만난 후 자신의 무.. 데미안(Demian) 출처 다음백과
  17. 롯데월드타워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에 건축된 초고층 복합 건물. 원래 '제2롯데월드'라는 이름으로 추진되었으나 201.. 롯데월드타워 출처 다음백과
  18. 장한나 대한민국의 첼리스트 장한나는 열한 살의 나이에 로스트로포비치 국제 첼로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세계무대에 이.. 간담회 갖는 장한나 출처 클래식 백과
  19. 강대위 강대위는 홍콩의 영화배우다. 배우 집안에서 태어나 4살부터 영화에 출연했으며 유약해 보이는 체격이었지만 .. 강대위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20. 집으로 이정향 감독이 2002년 연출한 저예산 영화. 엄마(동효희)와 일곱 살 상우(유승호)는 외할머니(김을분) 댁으로 간다. 형편이 어려워진 상우 엄마가 상우를 잠시 할머니에게 맡기기로 결정한 것이다. 상우는 말도 못..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