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1. BEST 01 복날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의 초복·중복·말복, 삼복 첫 번째 복날을 초복(初伏)이라 하고, 두 번째 복날을.. 삼계탕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BEST 02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BEST 03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조문하는 방법 출처 다음백과
  4. BEST 04 머그샷 수사기관이 범인 식별을 위해 촬영하는 얼굴 사진 경찰이 범인 식별을 위해 촬영한 얼굴 사진이다. 체포된 .. 범인 식별 사진을 표준화한 알퐁스 베르티옹이 자신을 모델로 촬영한 사진(1900년경) 출처 다음백과
  5. 영락제 명나라 제3대 황제(재위 1402~1424년). 명 태조의 넷째 아들로 지방의 번왕인 연왕에 봉해졌으나,.. 영락제 출처 중국사를 움직인 100인
  6. 윤달 음력에서 평년의 12개월보다 1개월 더 보태진 달. 윤달은 태음력상 역일(曆日)과 계절이 서로 어긋나는 것을 막기 위해 끼워 넣은 달이다. 태음력에서의 1달은 29일과 30일을 번갈아가며 사용하는데 이를 1년 1..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7. 초복 음력 6월~7월에 있는 세 절기인 삼복의 하나. 복날, 즉 삼복은 초복·중복·말복을 말한다. 삼복은 소서.. 백숙 출처 다음백과
  8. 리볼빙 가입자가 신용카드 대금 중 일부를 결제하면 통장 잔액이 충분해도 약정에 따라 나머지는 다음 달로 이월되고.. 리볼빙 제도 출처 트렌드지식사전6
  9. 간지 10간과 12지를 조합한 말. 10간은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이며, 12지는 자(쥐)·축(소)·인(호랑이)·묘(토끼)·진(용)·사(뱀)·오(말)·미(양)·신(원숭이)·유(닭)·술(개)·해(돼지)이다... 출처 다음백과
  10. 간헐적 단식 운동을 안 하고 12~24시간 굶기만 해도 살이 빠진다는 다이어트다. 공복을 유지하는 상태가 주기적으로 .. 단식(fasting) 출처 트렌드지식사전4
  11. 소시오패스 사회를 뜻하는‘소시오(socio)’와 병리 상태를 의미하는 ‘패시(pathy)’의 합성어로 법규 무시, .. 소시오패스 출처 똑소리나는 일반상식
  12. 삼우제 장사를 지낸 뒤 죽은 이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장사 당일날 지내는 제사는.. 고 김영삼 전 대통령 삼우제 출처 우리말 1000가지
  13. 삼우제 장사를 지낸 후 세 번째 지내는 제사. 망자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하며, 우제라.. 고 이한열군 삼우제 출처 다음백과
  14. 49재 사람이 죽은 지 49일째에 좋은 곳에 태어나길 기원하며 거행하는 불공 의식. 죽은 날을 1일로 하여 7일 마다 7번 불공 의식을 지내는 것을 의미한다. 대승불교의 전승에서 이 기간 동안 죽은 자는 생전의 공덕을 .. 출처 다음백과
  15. 나이별 이칭 지학(志學) : 학문에 뜻을 둠 과년(瓜年) : 혼기에 이른 여자의 나이 남-약관(弱冠) : 스무 살이 .. 15~20세 출처 다음백과
  16. 색즉시공 공즉시색 『반야심경』에 나오는 명구로서 물질적인 세계와 평등 무차별한 공의 세계가 서로 다르지 않음을 주장하는 불교교리이다. 원문은 “색이 곧 공이요 공이 곧 색이다.”로 번역된다. 신라의 원측(圓測)은 이에 대하여, 색..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7. 잠을 잘 못 자는데 왜 그럴까요 저는 50대 사업가입니다. 젊어서는 잠을 잘 잤는데, 최근에 사업상 안 좋은 일이 생겨 고민이 깊어지면서.. 출처 가족심리백과
  18. 김춘수의 〈꽃〉에 나오는 꽃은 무슨 꽃일까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김춘수의 〈꽃〉에 나오는 꽃은 무슨 꽃일까 출처 문득, 묻다 : 첫 번째 이야기
  19. 경조사 봉투 경조사가 있을 때 축하·조문의 뜻을 담아 일정 금액의 돈을 전달하기 위한 봉투 경조사(慶弔事)란 가정·사.. 결혼식 문구 예시 출처 다음백과
  20. 반야심경 본 이름은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이다. 반야(般若)는 프라즈냐(ⓢprajñā)를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으로 ‘지혜’라는 뜻이고, 바라밀다(波羅蜜多)는 파라미타(ⓢpāramitā)를 소리 나는 대로.. 출처 불교의 모든 것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