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1. BEST 01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BEST 02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조문하는 방법 출처 다음백과
  3. BEST 03 화양연화 몇 년 전 필자의 기억에 강한 비주얼로 각인되었던 〈화양연화〉에 대해 얘기해볼까 한다. 한 칼럼니스트가 .. 〈화양연화〉(2000년) 출처 패션에 쉼표를 찍다
  4. BEST 04 삼우제 장사를 지낸 후 세 번째 지내는 제사. 망자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하며, 우제라.. 고 이한열군 삼우제 출처 다음백과
  5. 김성민 김성민은 1915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평양 제2중학교를 거쳐 평양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6. 애국가 한국의 국가. 나라 사랑의 정신을 일깨우는 노래로서의 애국가는 갑오개혁 이후로 여러 사람이 만들었으며 <.. 애국가 출처 다음백과
  7. 리플리 영화 역사상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미남 배우 알랭 들롱의 영화 〈태양은 가득히〉를 기억하는가. 보트 위에서.. 〈리플리(The Talented Mr. Ripley)〉(1999년) 출처 패션에 쉼표를 찍다
  8. 빙부·빙모 빙부(聘父)는 다른 사람의 장인을, 빙모(聘母)는 다른 사람의 장모를 일컫는 말이다. 결혼한 남성을 기준으로 한 말로, 빙부는 아내의 아버지(장인)를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빙부와 빙모 모두 현대 한국에서는 주로.. 출처 다음백과
  9. 롯데월드타워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에 건축된 초고층 복합 건물. 원래 '제2롯데월드'라는 이름으로 추진되었으나 201.. 롯데월드타워 출처 다음백과
  10. 지방 쓰는 법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대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서 쓰는 신주 대신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말한다. 깨.. 부모 지방 예시 출처 다음백과
  11. 절기 1달에서 5일을 1후, 3후인 15일을 1기라 하여 이것이 기후를 나타내는 기초가 된다. 1년을 12절기.. 절기도 출처 다음백과
  12. 추분 추분(秋分)은 24절기의 열여섯째로 양력으로는 9월 22~23일 무렵입니다. 춘분과 추분을 흔히 이분(二.. 코스모스 추억 출처 하루하루가 잔치로세
  13. 세계 7대 불가사의 기적에 가까울 정도로 놀라운 인공 구조물이나 자연 경관을 표현하는 말로 사용된다. 고대의 7대 불가사의는.. 피라미드 출처 다음백과
  14. 벌초 무덤의 풀을 베어 정리하는 일. 일반적으로 일년 중 봄과 가을 두 번 진행하며 봄 벌초는 한식, 가을 벌.. 벌초 출처 다음백과
  15. 로버트 레드포드 로버트 레드포드는 <내일을 향해 쏴라>(Butch Cassidy and the Sundance Kid),.. 로버트 레드포드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16. 경조사 봉투 경조사가 있을 때 축하·조문의 뜻을 담아 일정 금액의 돈을 전달하기 위한 봉투 경조사(慶弔事)란 가정·사.. 결혼식 문구 예시 출처 다음백과
  17. 장준환 장준환은 1970년 1월 18일 전라북도 전주에서 출생했다. 그는 1993년 성균관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18. 몽유도원도 조선 초기의 화가 안견(安堅)이 그린 산수화. 안견이 1447년(세종 29)에 그린 산수화로 비단 바탕에.. 몽유도원도 / 안견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 쇠소깍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하효동에 있는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쇠소깍은 소가 누워있는 형태라 하여 쇠둔이라는.. 쇠소깍 출처 다음백과
  20. 치첸이트사 마야문명은 현재 중앙아메리카의 멕시코 남부 치아파스에서 과테말라 · 유카탄반도의 전역과 온두라스 일부에 .. 치첸이트사 출처 세계 불가사의 여행
더보기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