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메뉴

목록

  1. BEST 01 절기 1달에서 5일을 1후, 3후인 15일을 1기라 하여 이것이 기후를 나타내는 기초가 된다. 1년을 12절기.. 절기도 출처 다음백과
  2. BEST 02 삼재 수재·화재·풍재 등 사람에게 닥치는 3가지 재해를 뜻하는 민간용어. 삼재액·삼재운. 도병재(刀兵災) · 질역재(疾疫災) · 기근재(飢饉災)와 세계를 파계(破戒)하는 수재(水災) · 화재(火災) · 풍재(風災)가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BEST 03 사신도 사방의 별자리를 상징적인 동물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동쪽에 청룡, 서쪽에 백호, 남쪽에 주작, 북쪽에 현무.. 조선시대 벽화묘 내부 벽면에 그려진 주작 출처 다음백과
  4. BEST 04 사신도 사신도는 동서남북의 방위를 나타내고 우주의 질서를 진호하는 상징적인 동물을 그린 그림이다. 사신은 사령·사수라고도 하는데, 동쪽의 청룡, 서쪽의 백호, 남쪽의 주작, 북쪽의 현무를 일컫는다. 사신사상은 중국의 전..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5. 삼우제 장사를 지낸 뒤 죽은 이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장사 당일날 지내는 제사는.. 고 김영삼 전 대통령 삼우제 출처 우리말 1000가지
  6. 삼우제 장사를 지낸 후 세 번째 지내는 제사. 망자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하여 지내는 제사를 말하며, 우제라.. 고 이한열군 삼우제 출처 다음백과
  7. 곽경택 한국의 영화감독인 곽경택은 1966년 5월23일 부산에서 태어나 고신대 의대에 진학했지만, 1989년 중..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8. 조문하는 방법 장례식에 가서 조문할 때의 예의와 방법. 조문 시기는 가까운 친지의 경우 가능한 빨리 가는 것이 예의이고.. 조문하는 방법 출처 다음백과
  9. 차례 지내는 순서 명절에 지내는 제사인 차례를 지내는 방식. 이전에는 명절과 매달 초하루, 보름마다 꼭두새벽부터 차례를 지.. 차례 지내는 순서 출처 다음백과
  10. 빙부·빙모 빙부(聘父)는 다른 사람의 장인을, 빙모(聘母)는 다른 사람의 장모를 일컫는 말이다. 결혼한 남성을 기준으로 한 말로, 빙부는 아내의 아버지(장인)를 이르는 말로도 쓰인다. 빙부와 빙모 모두 현대 한국에서는 주로.. 출처 다음백과
  11. 지방 쓰는 법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대상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당에서 쓰는 신주 대신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말한다. 깨.. 부모 지방 예시 출처 다음백과
  12. 티아라 교황이 쓰거나 교황 앞에 운반되는 교황관. 행렬 같은 몇몇 비전례적인 용도에 쓴다. 벌통처럼 생겼고, 높.. 티아라 출처 다음백과
  13. 도슨트 미술관이나 박물관 등에서 전시작품을 설명하는 전문 안내인 미술관이나 박물관 등에서 전시작품을 설명하는 사.. 도슨트 출처 다음백과
  14. 롯데월드타워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에 건축된 초고층 복합 건물. 원래 '제2롯데월드'라는 이름으로 추진되었으나 201.. 롯데월드타워 출처 다음백과
  15. 장한나 대한민국의 첼리스트 장한나는 열한 살의 나이에 로스트로포비치 국제 첼로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세계무대에 이.. 간담회 갖는 장한나 출처 클래식 백과
  16. 불갑사 불갑사는 백제 또는 통일신라 때 세워진 사찰이다. 불갑사가 384년 호승 마라난타가 세웠다는 설이 있지만 믿기 어렵다. 조선시대 기록에 신라 때 창건된 절로 나온다. 불갑사가 최초로 언급된 기록은 고려 말에 등장..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7. 르네상스 14~16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문화 운동으로, 고대 그리스·로마의 학문과 지식을 부흥시키고자 하는 움직임.. 아테네 학당(The School of Athens) 출처 다음백과
  18. 단심가 이방원의 〈하여가〉에 답해 지은 것으로 충성심을 보이는 대표적 노래이다. 이방원은 아래의 내용의 시를 지어 정몽주의 마음을 떠보았다. \"이런들 어떠하리 저런들 어떠하리/만수산 드렁칡이 얽어진들 어떠하리/우리도 .. 출처 다음백과
  19. 태릉 태릉은 제11대 중종의 제2계비 문정왕후(1501~1565) 윤 씨의 능으로 봉분 1기만 있는 단릉이다... 출처 과학문화유산답사기1
  20. 추분 추분(秋分)은 24절기의 열여섯째로 양력으로는 9월 22~23일 무렵입니다. 춘분과 추분을 흔히 이분(二.. 코스모스 추억 출처 하루하루가 잔치로세
더보기 TOP으로 이동